본문 바로가기

전체보기77

Just Look UP..!! - 돈룩업(Don't Look Up) 이런 젠장 화병 암유발 영화를 봤나. 넷플릭스에 모처럼 내가 아는 화려한 출연진(디카프리오, 제니퍼 로렌스, 메릴 스트립, 케이트 블란쳇 등)이 나오길래 재밌을 것 같아서 재생버튼을 눌렀다. 그래. 재밌었다. 무척. 근데 너무 너무 열불난다.;;; 러닝타임 2시간 20분 동안 고구마 100개 먹은 듯한 답답함과 몸속에 암세포가 자라는 느낌에 시종일관 '참나~'를 외치는 나 자신 발견... 보고 나서 영화 정보를 찾아봤다. 감독 아담 멕케이... SNL 작가로 데뷔했으며 영화, 의 감독. 이 영화가 완벽한 블랙코미디였던 이유가 바로 수긍이 됐다.(빅쇼트도 정말 재밌게 봤는데) 영화는 미시간주립대 천문학과 소속 민디 교수(디카프리오)와 대학원생 디비아스키(제니퍼 로렌스)가 새로운 혜성을 발견하면서 시작한다... 2022. 1. 5.
기획자의 독서 / 김도영 우연히 본 제목의 '기획자'라는 단어가 주는 느낌(왠지 크리에이티브)이 멋있어서 이 책을 책장에 일단 넣었다. 그리고 기획자들은 과연 어떤 책을 읽을까 궁금하기도 했다. 읽어보니 내가 생각했던 것과 내용이 좀 달랐지만(책과 자신의 일을 사랑하는 기획자의 삶에 대한 이야기랄까?) 그래도 공감가면서 한편으로 나에게 도움이 되는 부분들이 있어 남겨두고 곱씹어 보려 한다. (특히 루틴에 대한 부분) 좋아하는 것을 통해 잘할 수 있는 방법을 배운다(p.41) 좋아하는 것이 왜 좋은지, 싫어하는 것은 왜 싫은지, 이런 '이유찾기'의 과정을 마치 저만의 취미인 양 소개했지만 어쩌면 모든 분야에 해당한다고 보는게 맞는 것 같습니다. 더 정확히는 자신이 하고 있는 일을 조금 더 잘하고 싶은 사람들, 그 일을 조금 더 의.. 2022. 1. 4.
살면서 계속 필요할 것 같다 - 수학이 필요한 순간 / 김민형 수학이 필요한 순간. 문과생이었던 나에게 수학이 필요한 순간은 수능 응시 이후 사실상 끝났었다. (아 대학 시절 통계학 과목 때 수학이 좀 필요하긴 했다.;;) 문과 치고 수학을 못하진 않았지만 그렇다고 좋아하지도 않았고(수학은 단지 수능을 위해 열심히 했을뿐) 외국에서는 기본적인 것만 한다던데 우리나라는 왜 전국의 수많은 학생들이 고생해가며 이렇게 수준 높은(?) 수학을 배워야하나 생각했다. (그러면서 우리 애가 소위 '수포자'가 될까봐 수학학원을 보내고 있다...;;) 그렇게 오랫동안 수학과 상관 없는 삶을 잘 살아 왔는데 왜 하필 이 책이 책장에서 눈에 띄였고 망설임 없이 집어들었으며 하루만에 다 읽게 되었는지 모르겠다. 책에 광고성으로 적힌 "수학책에 쏟아진 유례없는 환호!" "출간 즉시 종합 베.. 2022. 1. 4.
변화를 받아들이고 변화를 주도하자 - 요즘 애들, 요즘 어른들 / 김용섭 - 요즘 애들만 아는 것은 반만 아는 것이다 - 에 이어 세대분석과 관련된 책 을 읽어보았다. 뉴스에서 소위 '요즘 애들'인 MZ세대 얘기는 많은데 그럼 '요즘 어른들'도 예전 어른들과 다른가? 궁금하기도 하고 세대별 특징을 잘 알면 나 자신과 주변 사람들에 대해 좀더 잘 알게 될것 같아서다. 배려는 이해하려는 노력에서부터 시작한다 - 90년생이 온다 / 임홍택 90년생이 온다 국내도서 저자 : 임홍택 출판 : 웨일북 2018.11.16 상세보기 나는 82년생 김지영 세대다. (누구도 궁금해하지 않는걸 굳이 밝힘;;) 입사한지 10여년이 지나 조직의 중간급이 되어갈수록, minyongss.tistory.com 저자는 우리나라 세대들중 크게 4개 세대에 주목한다. 요즘 애들 세대인 M세대와 Z세대, 요즘 .. 2021. 12. 31.
인류와 역사는 과연 진보하는가 - 거꾸로 읽는 세계사 / 유시민 지금의 유시민을 있게 해준 유시민의 첫 베스트셀러 유시민 작가가 처음 이 책을 쓸때만 해도 아직 우리나라는 군사정권이었고 세계는 냉전의 막바지에 놓여있었다. 그래서 역사를 보는 균형잡힌 시각을 제공하고자 이 책을 썼다고 한다. 20세기 100년 동안 숱하게 많은 사건이 있었지만 작가는 그중에서도 11가지 큰 사건을 꼽았다. 드레퓌스 사건 사라예보 사건 러시아 혁명 대공황 중화인민공화국의 탄생 히틀러의 등장과 패망 팔레스타인 문제 베트남전쟁 말콤엑스의 등장 핵무기 독일 통일과 소련 해체 인류의 역사는 싸움의 역사라 해도 다름 아닐 정도 인간들은 지구상에서 끊임 없이 싸워왔다. 20세기는 그중에서도 전 지구적으로 가장 크게, 많은 사람들이 격렬하게 싸웠고 수많은 희생을 치렀다. 하나의 사건은 또다른 사건으로.. 2021. 12. 27.